}원가함수
추정
◦y = ax + b 에서 절편(intercept)과 기울기 계수(slope
coefficient)를 추정하는 것
◦
}원가추정순서
◦1. 추정하고자 하는 원가요소(
y )를
선택
◦2. 원가요소와 인과관계(cause-and-effect relationship)가 가장 높다고 판단되는 원가동인을 선택
◦3. 추정하고자 하는 원가함수가 타당성을 지닐 수 있는 관련범위를 선정
◦4. 원가함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선택
}산업공학법(industrial
engineering method)
◦생산방법, 재료, 노동력, 설비, 생산효율, 동작 등에 대한 공학자의 평가를 근거로 원가행태를 계량적으로
분석하여 원가방정식을 추정하는 방법
◦
}계정분석법(account
analysis method):
◦계정분류법이라고도 함. 원가추정방법 중 가장 전통적인 방법 중의 하나임
◦회계담당자가 각 계정에 기록되어 있는 원가를 전문가적인 판단에 따라
고정원가, 변동원가 및 준변동원가로
구분한 다음, 준변동원가를 다시 고정원가부분과 변동원가부분으로 구분하여 모든 원가요소를
고정원가와 변동원가로 구분
}계량적
분석법:
과거의
원가와 원가동인 자료를 근거로 원가함수를 도출하는 수학적인 방법
}
}계량적
분석법 순서
◦1단계 : 종속변수의 선택
◦2단계 : 독립변수의 선택
◦3단계 :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에 대한 자료 수집
◦4단계 : 자료의 도표화
◦5단계 : 원가함수의 추정
◦6단계 : 추정된 원가함수의 원가동인에 대한 평가
}고저점법(high-low
method)
◦계량적 원가추정법 중 가장 간단한 방법.
원가동인의
가장 낮은 관
찰치의 원가자료와 원가동인의 가장 높은 관찰치의 원가자료를 연
결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도출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